C언어를 어느정도 훑고나서 내가 배우려고 하는 것중에 하나인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자바도 익히면 도움이 될것같아서 국비학원을 다니기 전에 예습으로 들어볼까해서 시작하는중이다.
다른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타입은 int - 정수형, double - 실수형, char - 문자, string - 문자열
변수 선언 이란 - 코드 수정시에 고정된 값보다는 유연하게 탄력적으로 변환을 할수있다, 가독성이 좋아지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이 좋다
float 타입 사용시에는 상수뒤에 F , long 타입 뒤에는 L이 붙어야 해당 데이터 타입을 인식함
자동형변환 - 원칙은 표현범위가 좁은 데이터타입에서 넓은 데이터타입으로의 변환만 허용된다.
왠만한 기초적인것들은 C언어에서 이미 배웠기 때문에 따로 서술은 안하고 자바에서 따로 기억해야되는것들만 적고있다.
아마 여기까지는 다른언어를 배워봤었다면 별다른 설명없이도 이해할 수 있을것같다.
불린(Boolean)은 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bool이라고도 부른다. 불린은 정수나 문자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타입인데, 참을 의미하는 true와 거짓을 의미하는 false 두 가지의 값을 가지고 있다.
조건문 (if , switch)
if( true or false ) { than 절 }
else if ( T of F ) { }
else { }
조건문에서는 if 절의 값이true 일 때 then 절이 실행된다. if 절이 false 이면 than 절은 실행되지 않고 else 절이 실행된다.
모든값이 트루일때 첫번째 순차적인 트루값 1절만 실행이되고 나머지는 실행되지 않는다.
(switch 문과의 다른점 - switch 문은 트루인값 이하로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구절마다 그래서 원치 않을경우 break가 필요하다)
if 문의 else 와 switch 문의 default 의 동작의미는 동일하다
switch 문을 사용할 때 한가지 주의 할 것은 switch의 조건으로는 몇가지 제한된 데이터 타입만을 사용할 수 있다. byte, short, char, int, enum, String, Character, Byte, Short, Integer
논리연산자
&& - and(그리고) 두개의 명제가 둘 다 참일경우 - > 참
|| - or (또한) 두개의 명제 중 하나만 참 일경우 -> 참
반복문 (while , for)
while ( 조건 - 언제까지 ) { 반복 실행문 }
for (초기값 ; 조건문 ; 반복실행) { 반복 실행문 }
배열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
배열을 선언하는 법
String [] class Group = {"최진혁", "최유빈", "한이람", "이고잉"};
- 각각의 원소를 한번에 선언하는 법
String[] classGroup = new String[4];
classGroup[0] = "최진혁";
classGroup[1] = "최유빈";
classGroup[2] = "한이람";
classGroup[3] = "이고잉";
- 배열 선언 후 각각의 데이터 원소를 선언하는 법
length 는 배열에 실제 담긴 데이터의 숫자를 의미하는것이 아니라 배열을 처음 생성할때 지정한 배열의 크기를 의미한다. ( = 인덱스 값)
위와 같이 배열에 담긴 각각의 데이터를 원소(element)라고 한다. classGroup[1]은 최유빈이다. 여기서 숫자 1은 원소 최유빈을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이러한 식별자를 인덱스라고 부른다. 이 식별자는 중복되면 안 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입력할 때 자동으로 1씩 증가되면서 만들어진다. 이 배열이 담을 수 있는 원소의 개수를 length라고 한다. 위의 그림에 따르면 classGroup의 길이는 4가 된다. length는 배열에 담긴 원소의 숫자가 아니라 배열을 선언할 때 지정한 배열이 담을 수 있는 값의 크기를 의미한다.
for-each
배열의 내용을 탐색할때 for문을 조금 더 간편하게 사용하는 방법이다.
반복문과 배열을 같이 사용하면 보통 증감연산자와 반복문을 통해 같이 구성하게 되는데, 위의 구문은 배열 members의 값을 변수 e에 담아서 중괄호 구간 안으로 전달해준다. 반복문의 종료조건이나 종료조건을 위해서 기준값을 증가시키는 등의 반복적인 작업을 내부적으로 감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바 5.0부터 도입된 기능이다.
문자열 -> 숫자로 변환
데이터 타입의 변환의 경우 여러가지가 있는데 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parse를 많이 사용한다.
변수 = (데이터타입).parse(데이터타입)
변수 = (데이터타입).valueof(데이터타입)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기초 입문 6일차 (Interface, 다형성, Exception, multi catch) (0) | 2022.11.23 |
---|---|
Java 기초 입문 5일차 (classpath, API, 접근제어자, abstract) (0) | 2022.11.22 |
Java 기초 입문 4일차 (class와 instance의 관계,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상속, 생성자,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0) | 2022.11.21 |
Java 기초 입문 3일차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클래스와 인스턴스) (0) | 2022.11.18 |
Java 기초 입문 2일차 (method, input output, GUI)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