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사용해보기
- Git bash 설치하기
git을 사용하기 위해 CLI 형태로 제공하는 툴인 git bash를 먼저 설치해보도록 하자
자세한 방법 해당 블로그 참조
- https://code-lab1.tistory.com/249
[Git] 윈도우10(window 10) 깃(Git) 설치하기 - Git 기초(0.5)
윈도우 10(Window 10) 깃(Git) 설치하기 1. Git 설치 파일 다운로드 윈도우 10에서 깃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s://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code-lab1.tistory.com
- Git bash 실행
- Github에서 저장할 자신의 repository 생성
저장소(레포지토리)를 생성하면 현재 저장소에 아무것도 저장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커맨드 라인을 입력하라는 예시가 나온다. 그대로 따라서 하면 된다.
Git 명령어 설명
git init - 깃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화를 시켜준다.
(git init을 이용하여 깃을 이용하기 위한 .git이라는 숨김폴더를 만들어준다.)
nano 파일명.확장자명
- 해당 파일명과 확장자명으로 파일을 생성해준다. 생성 후 파일편집도 가능하다 (.gitignore도 가능)
git add (파일명) - 작업 디렉토리상의 변경내용을(working directory) 스테이징 영역에(staging area) 추가한다.
git status -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의 상태를 확인한다.
- Changes to be committed: 이 영역은 스테이징 영역에 넘어가 있는 변경 내용을 보여준다.
-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이 영역은 아직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변경 내용을 보여준다.
- Untracked files: 이 영역도 아직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아직 한 번도 해당 Git 저장소가 관리한 적이 없는 새로운 파일을 보여줍니다. (즉, 깃허브에 업로드 될 파일들)
git commit - 스테이징 영역에 올라가있는 내역들을 .git이라는 폴더안에 변경내역을 저장한다. (-m 를 통해 메시지를 함께 작성)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 주소) - 저장할 원격 저장소의 위치 (깃허브의 주소) (-v로 목록을 볼 수 있다.)
git push orgin (브랜치명) - 원격 저장소에 최종적으로 저장한다.
git clone (깃허브 주소) - 원격 저장소에 있는 레포지토리를 자신의 컴퓨터(로컬)에 복제한다. (최초일 때 사용)
git pull origin (브랜치명) - 업데이트된 원격 저장소를 가져온다.
git reset HEAD (파일명) - 모든파일 또는 해당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올라간 내역들을 리셋한다.
git tag (태그명 or 버전명) - 해당 태그/버전을 기록. (-d 태그명 옵션은 삭제)(push 할 때 해당 태그명을 입력하면 해당 태그/버전을 github에 기록)git log - 그동안의 커밋 로그들을 보여준다. (--oneline 한눈에 보는 옵션)
※ 뒤에 파일명 대신 . 만 입력시 모든 파일이 적용
참고 기본 명령어
cd - change directory : 위치(경로)를 변경한다.
- cd ..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현 위치로 이동 (새로고침)
- cd - : 이전에 위치했던 곳으로 이동
- cd / : root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home 디렉토리로 이동
ls - list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출력
- ls -l : 파일들을 나열할때 자세히 출력한다.
- ls -a :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 (숨김파일도 포함)
- ls -R : 위치한 디렉토리 하부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모두 출력한다.
- ls -h : 파일크기를 해석파기 편하게 출력한다.
- ls -r : 출력 결과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 ls -t : 출력 결과를 파일이 수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top 명령어, 프로세스 확인 (CPU, 메모리 사용률 확인) (2) | 2023.12.05 |
---|---|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및 활용 (2)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