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암호 알고리즘
AES
- 128bit 평문을 128/192/256bit로 암호화
- 키 크기에 따라 10/12/14회 Round 수행
- 1997년 NIST에 의해 제정
- 레인달에 기반한 암호화 방식
- SPN 암호 방식을 사용한다
SEED
-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128비트 및 256비트 대칭키 블록 암호 알고리즘
ARIA
- 국가 보안 기술 연구소(NSRI) 필두로 학계, 국가 정보원 등의 암호 기술 전문가들이 개발한 국가 암호화 알고리즘
- AES 알고리즘과 똑같이 128/192/256비트 암호화키를 지원한다.
- SPN 암호 방식을 사용한다
IDEA
- 1990년 스위스에서 만들어진 PES를 개량하여 만들어진 블록 암호 알고리즘
- 키 길이가 128bit, 블록길이가 64bit
- Feistel 방식과 SPN의 중간형태 구조
VPN
- 인터넷 등 통신 사업자의 공중 네트워크에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치 자신의 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것처럼 해주는 보안솔루션
보안 솔루션
방화벽 (Firewall)
- 네트워크 간에 전송되는 정보를 선별하는 기능을 가진 침입 차단 시스템
웹 방화벽 (Web Firewall)
- 웹 기반 공격을 방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웹 서버 특화 방화벽
침입탐지 시스템 (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컴퓨터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사용, 오용 등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시스템
- 이상탐지, 오용탐지
침입방지 시스템 (IPS - Intrusion Prevention System)
- 방화벽과 침입탐지 시스템을 결합한 것
데이터 유출 방지 (DLP - Data Leakage/Loss Prevention)
- 내부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솔루션
NAC (Network Access Control)
-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내부PC의 MAC주소(고유랜카드주소)를 IP관리 시스템에 등록한 후 일관된 보안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보안솔루션
ESM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 다양한 장비에서 발생하는 로그 및 보안 이벤트를 통합관리 하는 보안 솔루션
라우팅 프로토콜

IGP
- 네트워크 집합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동일 그룹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대표적으로 RIP, OSPF가 있다)
RIP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이며, 최대 홉수를 15로 제한함. 거리벡터 방식인 Bellman-Ford 알고리즘 사용. 자율 시스템(AS) 사용.
IGRP
- RI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 개발된 것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라우팅하며, 중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함
OSPF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라우팅 정보에 변화가 생길 경우 변화된 정보만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 알리며, RIP에 비해 홉수에 제한이 없음. 자신을 기준으로 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기반으로 최단 경로를 찾는 라우팅 (Link-State) 프로토콜
EGP
- 다른 그룹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대표적으로 BGP가 있다)
BGP
- 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도달 가능성 정보를 교환하도록 설계된 표준화된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의 하나. 대형 사업자(ISP)
응집도 (Cohesion)
- 응집도는 모듈의 독립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모듈 내부 구성요소 간 연관 정도
- 응집도는 정보 은닉 개념의 확장개녀으로, 하나의 모듈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
- 응집도의 유형은 우연적<논리적<시간적<절차적<통신적<순차적<기능적 응집도 순서로 응집도가 높아진다.
| 유형 | 설명 |
| 기능적 응집도 (Functional Cohesion) | 모듈 내부의 모든 기능이 단일한 목적을 수행 |
| 순차적 응집도 (Sequential Cohesion) | 모듈 내에서 한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값을 다른 활동이 사용 |
| 통신적 응집도 (Communication Cohesion) |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 |
| 절차적 응집도 (Procedural Cohesion) | 모듈안의 구성 요소들이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
| 시간적 응집도 (Temporal Cohesion) | 특정 시간에 처리되어야 하는 활동을 한 모듈에서 처리 |
| 논리적 응집도 (Logical Cohesion) |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요소들이 한 모듈에서 처리 |
| 우연적 응집도 (Coincidental Cohesion) | 모듈 내부의 각 구성 요소들이 연관이 없는 경 |
결합도 (Coupling)
- 결합도는 모듈 내부가 아닌 외부의 모듈과의 연관도 또는 모듈 간의 상호의존성을 나타내는 정도
- 결합도는 소프트웨어 구조에서 모듈 간의 관련성을 측정하는 척도
- 결합도의 유형은 내용>공통>외부>제어>스탬프>자료 결합도 순으로 결합도가 낮아진다.
| 유형 | 설명 |
| 자료 결합도 (Data Coupling) | 모듈간의 자료(값)를 통해서만 모듈 상호 작용 발생 |
| 스탬프 결합도 (Stamp Coupling) | 모듈간의 배열이나 오브젝트, 스트럭쳐 등이 전달되는 경우 |
| 제어 결합도 (Control Coupling) | 값만 전달되는게 아니라, 제어 요소가 전달 되는 경우 |
| 외부 결합도 (External Coupling) | 모듈에서 외부로 선언한 변수를 다른 모듈에서 참조 |
| 공통 결합도 (Common Coupling) | 전역변수를 참조 |
| 내용 결합도 (Content Coupling) | 다른 모듈 내부에 있는 변수나 기능을 또 다른 모듈에서 사용 |
※ 모듈의 독립성을 높이기 위해 응집도는 높이고 결합도는 낮춰야 좋은 모듈 설계이다.
객체지향 설계원칙 (SOLID)
단일 책임 원칙 (SRP -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을 가져야 한다
개방 폐쇄 원칙 (OCP - Open-closed principle)
- 확장에는 열려있고, 수정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리스코프 치환 원칙 (LSP -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자식 클래스는 언제나 자신의 부모 클래스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SP -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는 구현하지 말아야 한다
의존성 역전 원칙 (DIP -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의존관계를 맺을 때 자주 변화하는 것보다, 변화가 거의 없는 것에 의존해야 한다
UI 설계 원칙
직관성
- 화면의 버튼, 항목, 입력란 등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유효성
-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히 달성할 수 있도록 유용하고 효과적이어야 한다
학습성
- 사용자가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 한다
유연성
- 사용자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면서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
'기타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정리 (4) (2021년 1회, 2회) (0) | 2023.07.21 |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정리 (3) (2021년 3회) (0) | 2023.07.19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정리 (1) (2022년 3회)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