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잭션의 특성
원자성 (Atomicity) - 트랜잭션 실행이 모두 반영되던지, 모두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commit, rollback)
일관성 (Consistency) - 트랜잭션 실행 후에도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는 유효해야 한다.
독립성, 격리성 (Isolation) - 하나의 트랜잭션의 다른 트랜잭션의 영향을 미치면 안된다.
영속성 (Durablility) - 연산의 결과는 영구히 보존되어야 한다.
로그 기반 회복 기법
REDO - 트랜잭션 로그를 이용하여 오류가 발생한 트랜잭션을 재 실행하여 복구를 수행한다.
UNDO - 트랜잭션 로그를 이용하여 오류와 관련된 내용을 취소하여 복구를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이상현상
삽입 이상
- 릴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삽입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이 원하지 않는 값들로 함께 삽입되는 현상
삭제 이상
- 릴레이션에서 한 튜플을 삭제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로 함께 삭제되는 연쇄 삭제 현상
갱신 이상
- 릴레이션에서 튜플에 있는 속성값을 갱신할 때 일부 튜플의 정보만 갱신되어 정보에 모순이 생기는 현상
UI - 사용자가 제품/서비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매개체
UX - 사용자 경험의 약자로, 사용자가 어떠한 서비스/제품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종합적인 만족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과정

패킷 교환방식
- 데이터의 단위인 패킷을 이용해서 목적지의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 작은 블록의 패킷을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만 네트워크 자원을 연결하는 형태로 전용 회선 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해당 회선을 독점적으로 점유하는 회선 교환 방식과는 대조적인 방법이다.
패킷 교환의 2가지 방법
- 데이터 그램 방식 (Datagram)
- 가상 회선 방식 (Virtual Circuit)

데이터 그램 방식
- 비연결 지향형인 성격을 띄고 있다.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는 논리적 연결이 설정되지 않아서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되고 패킷을 수신한 라우터는 최적의 경로를 찾아서 패킷을 목적지로 전송하게 된다. (즉, 동일한 패킷을 보내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는 소리이다.)
- 송신 측에서 보낸 순서와 수신 측에 도착한 순서가 다를 수 있다.
가상 회선 방식
- 회선 교환 방식을 차용했다.
- 연결 지향적인 특성을 갖고 있으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논리적으로 목적지 (Destination)와 연결 시킨다.
- 각 패킷에 가상회선 식별 번호가 존재하고 이 식별 번호를 통해서 전송된 순서대로 도착하게 되는 것이다.
- 각 패킷은 데이터 그램 방식과 다르게 도착 순서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타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정리 (3) (2021년 3회) (0) | 2023.07.19 |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정리 (2) (2022년 2회) (0) | 2023.07.18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정리 (1) (2022년 3회)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