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에서 서비스 중 admin 쪽에 Okta 관련 연동을 도입한다고 하기에 미리 공부하기 위해 끄적여본다.. Okta 연동관련하여 크게 3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SAML, OAuth과 OIDC이다. 3가지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는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을 하게 됩니다. 예전에는 여러 사이트마다 각자 계정을 만드는 일이 잦았는데 최근엔 대형 회사들 (Google, Naver, Kakao 등)의 계정 SSO 로그인 기능을 활용해 대신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SO (Single-Sign-On) 란? 이름 그대로 단일 로그인, 즉 한번의 로그인으로 여러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할 수 있게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SSO가 없다면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마..
IP (아이피) IP (아이피) : Internet Protocol의 줄임말로,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주소체계를 의미한다. 공인 IP와 사설IP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PC는 IP 주소체계를 따라 네 덩이의 숫자로 구분된다. 이러한 네 덩이의 숫자로 구분된 IP 주소체계를 IPv4라고한다. (현재 사용하는 주소 체계) ※ 터미널에서 간단한 명령어로 도메인의 IPv4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을 열고, nslookup (도메인 네임 ex - naver.com)을 입력하면 된다. IPv4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는 IP 주소체계의 네 번째 버전을 뜻한다. IPv4는 각 덩어리 마다 0부터 255까지 나타낼 수 있다. 이 시스템을 따르면, 2^(32..
프로토콜(Protocol) 이란 ? 다수의 컴퓨터 사이나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의 규모가 증가되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전송 수요가 다양화되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장비가 계속증가되는 최근의 환경에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의 기능이 분화되고 복잡해질 수 밖에없다. 이러한 환경적인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프로토콜 계층화의 개념이 나타나게 되었다. 프로토콜의 구성 프로토콜은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리적 측면과 논리적 측면으로 나뉜다. 물리적 측면 : 자료 전송에 쓰이는 전송 매체, 접속용 단자 및 전송 신호, 회선 규격 등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논리적 측면 : 프레임(Fram..
현재 작업 중인 페이지에서 어떤 요청으로 인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경우 Forward 방식과 Redirect 방식 2가지 방식으로 페이지를 전환해준다. 두 방식의 공통점은 자신에게 요청이 왔을 때 자신이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URL에게 요청 처리를 위임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요청 처리를 위임하는 과정에서 차이점이 발생한다. 그렇다면 이 두 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1. Forward 방식 Forward 방식은 URL 1에게 요청을 보내게 되면 해당 요청을 자신이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URL 2에게 직접 위임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방식 서버 내부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초기의 Request, Response 정보를 유지한 채로 전송된다. 또한, 서버 내부에서 일어나는 ..